반응형
문제
오늘은 혜아의 면접 날이다. 면접 준비를 열심히 해서 앞선 질문들을 잘 대답한 혜아는 이제 마지막으로 칠판에 직접 코딩하는 문제를 받았다. 혜아가 받은 문제는 두 수를 더하는 문제였다. C++ 책을 열심히 읽었던 혜아는 간단히 두 수를 더하는 코드를 칠판에 적었다. 코드를 본 면접관은 다음 질문을 했다. "만약, 입출력이 N바이트 크기의 정수라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까요?"
혜아는 책에 있는 정수 자료형과 관련된 내용을 기억해 냈다. 책에는 long int는 4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자료형이고 long long int는 8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자료형이라고 적혀 있었다.
혜아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. "int앞에 long을 하나씩 더 붙일 때마다 4바이트씩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는 걸까? 분명 long long long int는 12바이트, long long long long int는 16바이트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자료형일 거야!" 그렇게 혜아는 당황하는 면접관의 얼굴을 뒤로한 채 칠판에 정수 자료형을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.
혜아가 N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칠판에 쓴 정수 자료형의 이름은 무엇일까?
입력
첫 번째 줄에는 문제의 정수 N이 주어진다. (4 ≤ N ≤ 1,000; N은 4의 배수)
출력
혜아가 N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수 자료형의 이름을 출력하여라.
입출력 예제
알고리즘❓ 풀어내기❗️
N을 4로 나눈 몫의 개수에 따라 long을 추가하여 출력해준다.
🧑🏻💻코드 리뷰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n = scan.nextInt();
String str = "";
scan.close();
for(int i=1; i<=n/4; i++) {
str += "long ";
}
System.out.println(str + "int");
}
}
▶ str += "long " : n을 4로 나눈 몫의 개수에 따라 str에 long을 더해준다.
'ALGORITHM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백준 11021 - A+B - 7 (0) | 2024.04.28 |
---|---|
[JAVA] 백준 8393 - 합 (1) | 2024.04.28 |
[JAVA] 백준 25304 - 영수증 (1) | 2024.04.28 |
[JAVA] 백준 2739 - 구구단 (1) | 2024.04.27 |
[JAVA] 백준 10950 - A+B - 3 (1) | 2024.04.27 |